728x90 반응형 2025/05/032 토티아오(今日头条) : AI 뉴스 혁신, 바이트댄스 성공 신화의 시작 2012년 8월,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출시한 토티아오(今日头条, Jinri Toutiao, 오늘의 헤드라인)는 단순한 뉴스 앱 그 이상이었습니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며 중국의 뉴스 소비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습니다. 이는 훗날 틱톡(TikTok)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바이트댄스의 첫 번째 핵심 제품이자 기술적 초석이 되었습니다. 1. AI 시대를 연 뉴스 플랫폼의 탄생바이트댄스의 창업자 장이밍(Zhang Yiming)은 2012년 당시 급성장하던 모바일 인터넷 시장에서 개인화된 정보 유통의 거대한 잠재력을 간파했습니다. 토티아오는 사용자의 앱 내 행동 데이터(기사 클릭, 스크롤 패턴, 페이지 체류 시간, 댓글, 위치 정보 등)를 정교.. 2025. 5. 3. 중국 반도체, 한국을 얼마나 따라왔나? 현황과 미래 전망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에는 반도체가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위탁생산)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한국과 무서운 속도로 추격하며 '반도체 굴기'를 외치는 중국의 기술 경쟁은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과연 현재 중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은 한국과 비교해 어느 정도이며, 향후 경쟁 구도는 어떻게 전개될까요? 1. 현주소: 강점과 약점의 교차현재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 기술력은 각기 다른 강점과 약점을 보이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1) 한국: 제조 강국, 그러나 기초는?제조 및 메모리 리더십한국은 전통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 및 양산 기술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Flash)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오랫.. 2025. 5. 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