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2025년 중국 소비자 행동을 형성하는 주요 트렌드

by J&P 2025. 4. 24.
반응형

중국관광객

 

1. 중국 소비의 변화하는 지형

중국 소비자 시장은 역동적인 변화의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률 조정, 기술 발전 가속화, 소비자 가치관의 진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소비 지형을 새롭게 그리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경제는 과거의 고속 성장에서 벗어나 보다 안정적이고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단계로 접어들었습니다. 이러한 거시 경제 환경의 변화는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비 성장세는 2023년 리오프닝 직후의 반등세에 비해 2024년 들어 다소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 소비자들은 단순히 지출을 줄이는 것을 넘어 가치를 재정의하고 있습니다. 표면적인 관찰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미묘하고 복합적인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Z세대와 실버 세대 간의 뚜렷한 소비 패턴 차이, 1선 도시와 하선 도시 간의 지역적 특성, 그리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가치관은 중국 시장을 더욱 다층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현재의 경제적 조정기가 단순한 소비 위축이 아닌 소비자들이 가치를 근본적으로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소비자들은 이제 낮은 가격만을 쫓는 것이 아니라 가격 대비 최적의 품질과 감성적 만족감을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선별하는 더욱 현명한 소비 주체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중국 사회 전반의 빠른 디지털 전환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더우인(抖音), 샤오홍슈(小红书), 핀둬둬(拼多多)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은 단순한 쇼핑 채널을 넘어 정보 탐색, 가격 비교, 커뮤니티 활동, 트렌드 확산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이는 합리적 소비, 궈차오(国潮) 열풍, 세대별 맞춤 마케팅, 경험 경제 등 다른 주요 트렌드들을 가속화하고 구체화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 소비 시대: 가치와 가치가 만나다

Z세대

현재 중국 소비 시장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흐름은 '이성 소비(理性消费)'의 확산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맹목적인 브랜드 충성도나 충동적인 구매에서 벗어나, 제품의 가치, 품질, 투명성을 꼼꼼히 따져보는 신중한 소비 태도를 의미합니다.
 
 

1) 이성 소비의 정의와 특징

이성 소비는 단순히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찾는 것을 넘어섭니다. 소비자들은 가격 대비 품질(가성비, 價性比) 과 기능성, 그리고 자신의 실제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매 결정을 내립니다. 충동구매는 줄어들고, 구매 전에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고 비교하는 과정이 중요해졌습니다. iResearch의 2024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7%가 제품에 대해 스스로 공부하고 평가한다고 답했으며, 65.2%는 생활 품질 향상을 위해 소비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소비가 단순히 필요를 충족하는 행위를 넘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신중한 선택 과정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핑티(平替)'의 부상과 가치 소비

이러한 맥락에서 '핑티(平替)' 소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핑티는 '평가체대(平价替代)', 즉 '저렴한 대체품'의 줄임말로 고가 브랜드 제품과 유사한 품질이나 기능을 제공하면서 가격은 더 합리적인 대안 제품을 찾는 소비 트렌드를 의미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브랜드 이름값보다는 실질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성 소비가 무조건적인 절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소비자들은 여전히 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감(가심비, 價心比)을 추구하며, 자신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제품이나 경험에는 기꺼이 지갑을 엽니다. 교육, 즐거움, 개인적 성장과 관련된 가치 소비에는 지출을 아끼지 않는 경향도 나타납니다. 즉, 소비 총량은 신중하게 관리하되, 자신에게 진정으로 가치 있다고 판단되는 영역에는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스마트한 소비 패턴이 확산되고 있는 것입니다.  

 
 

3) 투명성에 대한 요구 증대

소비자들은 제품 정보의 투명성을 점점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성분, 원산지, 제조 과정, 안전 기준 등에 대한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요구하며, 특히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운 제품군에 대해서는 업계 선두 기업들이 투명한 표준을 설정하고 공개하기를 기대하는 심리가 강해지고 있습니다. 화장품 업계의 '클린 뷰티(Clean Beauty)' 기준처럼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4) 시장 변화와 시사점

이러한 이성 소비 트렌드는 시장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첫째, 브랜드 충성도가 약화되고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가격과 품질을 적극적으로 비교하고 가성비 좋은 대체품(핑티)에 열려 있으며, 품질이 향상된 자국 브랜드(궈차오)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과거 명성이나 브랜드 이미지에만 의존해 온 기존 브랜드, 특히 해외 브랜드들은 상당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모든 브랜드는 이제 지속적으로 가치를 증명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둘째, 투명성에 대한 요구는 브랜드들로 하여금 제품 정보 공개를 넘어 생산 및 유통 과정 전반에 걸쳐 더 높은 기준을 적용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건강 및 지속가능성 트렌드와 맞물려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가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사와 결합되면서 브랜드는 원료 조달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투명성을 확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샘스클럽(Sam's Club), 코스트코(Costco)와 같은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 이나 핀둬둬/테무(Temu)와 같이 초저가를 내세운 플랫폼의 인기  역시 이러한 가성비 및 가치 중심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는 현상입니다.  

 
 
 

3. "궈차오(国潮)"의 부상: 애국심과 자부심의 힘

중국 소비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 중 하나는 '궈차오(国潮)' 열풍입니다. 이는 중국 자국 브랜드와 중국 전통 문화 요소가 결합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트렌드를 의미하며, 단순한 유행을 넘어 중국 사회의 문화적 자부심과 정체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궈차오의 정의와 배경

궈차오는 '궈(国, 국가/중국)'와 '차오(潮, 트렌드/유행)'의 합성어로, 중국 문화와 제품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첫째, 중국의 눈부신 경제 성장과 국제적 위상 강화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국가적 자부심과 문화적 자신감을 크게 높였습니다. 이들은 중국의 발전 과정을 직접 경험하며 자국 문화와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했습니다.
둘째, 중국 로컬 브랜드들의 끊임없는 연구개발 투자와 혁신 노력으로 제품의 품질과 디자인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과거 '저렴하지만 품질이 낮은' 이미지에서 벗어나, 이제는 '가성비 좋고 품질도 우수한'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셋째, 중국 정부의 자국 브랜드 육성 및 지원 정책 역시 궈차오 열풍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나아가려는 국가적 목표와 맞물려 로컬 브랜드 강화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중 무역 갈등과 같은 지정학적 요인도 중국 소비자들의 애국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촉매제가 되기도 합니다.  
 

2) 다양한 분야에서의 궈차오 현상

궈차오 트렌드는 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소비재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습니다.  

 

1. 패션 및 스포츠웨어: 중국 스포츠 브랜드 리닝(李宁)은 중국 전통 문양과 색상을 디자인에 접목하고 애국심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활용하여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2018년 뉴욕 패션위크에서 '중국 리닝(中国李宁)' 컬렉션을 선보인 이후, 궈차오의 대표 주자로 떠올랐습니다.  
 
2. 화장품 (C-뷰티): 화시즈(花西子), 퍼펙트 다이어리(完美日记)와 같은 중국 로컬 뷰티 브랜드들은 동양적인 미학과 전통 문화를 제품 디자인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며 젊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이들은 뛰어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을 바탕으로 글로벌 브랜드들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프로야(珀莱雅)와 같은 브랜드는 광군제 등 주요 쇼핑 행사에서 매출 상위권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3. 전자제품: 미국의 제재 속에서도 화웨이(华为)는 기술 혁신과 애국 소비 열풍에 힘입어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회복했으며, 소비자들의 높은 선호도를 얻고 있습니다.  
 
4. 식음료: 중국 전통 식재료를 활용하거나 지역 특색을 살린 로컬 식음료 브랜드들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3) 시장 영향력과 시사점

궈차오 열풍은 중국 시장에서 자국 브랜드의 점유율을 크게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자국산 제품 구매 비율이 58.3%에 달하고, '618 쇼핑 축제' 기간 온라인 소매 판매 상위 10개 브랜드 중 6개가 중국 브랜드였으며, 스킨케어 신제품 매출의 66%를 중국산이 차지하는 등  그 영향력은 실질적인 수치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외국 브랜드에게 상당한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으며, 단순히 브랜드 인지도나 원산지만으로는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어려워졌음을 의미합니다.
 
더 나아가 궈차오는 단순한 상품 소비 트렌드를 넘어 문화, 엔터테인먼트, 여행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통 문화 요소를 재해석한 게임 콘텐츠가 인기를 얻고, 역사 유적지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국내 여행지가 각광받는 현상  등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이는 궈차오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중국 사회의 변화하는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보다 깊고 지속적인 흐름임을 시사합니다.  
 
또한 궈차오의 성공은 애국심이라는 감성적 요인과 함께 제품 품질 및 가치 향상이라는 이성적 요인이 결합된 결과라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소비자들은 자국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향상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에 만족하기 때문에 기꺼이 궈차오 제품을 선택합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중국산'이라는 라벨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혁신을 통해 소비자의 높아진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 궈차오 트렌드 속에서 성공하기 위한 핵심 과제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4. 세대 간 격차: Z세대와 실버 서퍼 이해하기

중국의 거대한 소비 시장은 단일한 특성을 가진 집단이 아니라,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며 각기 다른 가치관과 소비 패턴을 보이는 복합적인 공간입니다. 특히 시장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두 축은 디지털 환경에 능숙하고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는 'Z세대'와 인구 규모와 경제력이 빠르게 성장하며 새로운 소비 주체로 부상한 '실버 세대'입니다. 이 두 세대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중국 시장 공략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Z세대: 디지털 네이티브, 개성과 경험을 중시하다

1995년 이후 출생한 Z세대는 중국의 고속 성장기를 경험하며 자라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입니다. 이들은 이전 세대와는 확연히 다른 소비 특징을 보입니다.  

 

1. 가치관
개성과 자기표현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물질적 소유보다는 경험과 감성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건강 과 외모 관리('옌즈경제', 颜值经济) 에 대한 관심이 높고 환경 문제와 지속가능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자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궈차오 트렌드를 주도하는 핵심 세력입니다. 동시에 이성적인 소비 태도를 견지하며 가성비와 실용성을 따지는 모습도 보입니다.  
 
2. 소비 행동
1) 건강
전통 중의약(TCM) 성분을 활용한 건강 음료나 아이스크림과 같은 이색적인 건강 관련 제품에 높은 관심을 보입니다. 비타민, 오메가-3 등 건강 보조제 구매율도 높습니다.  
 
2) 외모 (옌즈경제)
화장품, 스킨케어는 물론 치아 교정, 피부과 시술, 간단한 성형 등 외모를 가꾸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습니다. 특히 더우인과 같은 플랫폼에서 뷰티 콘텐츠 소비와 구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2023년 중국 옌즈경제 시장 규모는 약 3조 700억 위안(약 574조 원)에 달하며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3) 디지털 라이프
더우인, 샤오홍슈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제품 정보를 얻으며, 실제 구매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AI 기반의 맞춤형 추천이나 가상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에도 익숙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소속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4) 친환경 소비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친환경 제품이나 지속가능한 브랜드를 선호하며, 경제적이면서도 환경적인 이유로 중고 거래 플랫폼(예: 시엔위(闲鱼), 95fen)을 활발하게 이용합니다. 이들 플랫폼 이용자의 70%가 Z세대라는 통계도 있습니다.  
 
5) 감성 및 경험 소비
제품 구매를 통해 얻는 정서적 위안과 만족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며('힐링 소비'),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여행, 문화 활동 등)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6) 궈차오 및 가치 소비
중국 문화 요소가 가미된 자국 브랜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동시에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을 중시하는 이성적인 소비 성향을 보입니다.  
 

2) 실버 세대: 건강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주역

실버세대

중국의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60세 이상의 실버 세대가 강력한 소비력을 갖춘 새로운 시장 주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1960년대생인 '리우링허우(60后)'는 이전 노년층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며 '실버 경제(银发经济)'를 이끌고 있습니다.  

 

1. 가치관
건강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며, 은퇴 후 여유로운 시간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합니다. 이전 세대에 비해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이 뛰어나 온라인 쇼핑과 소셜 미디어 활동에도 적극적입니다. 편안함과 편리함을 중시하며, 사회적 관계와 존중받고자 하는 욕구도 가지고 있습니다.  

 

2. 소비 행동
1) 건강 관련 지출
혈압계, 혈당 측정기 등 가정용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스마트 건강 모니터링 기기  등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2023년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1,98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2.37%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2,400억 위안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역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2) 디지털 활용
건강 제품, 패션 의류, 생활 필수품 등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편리한 정보 검색과 구매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지만 동시에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중요합니다.
 
3) 서비스 소비
가사도우미, 방문 요양 등 돌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과 편의를 고려한 맞춤형 실버 관광 상품 과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시니어 패션  시장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3년 실버 패션 시장 규모는 1,581억 위안, 2025년에는 2,000억 위안 규모로 성장이 예측됩니다.  
 
4) 라이프스타일 및 경험
단순히 노후를 대비하는 '양로(养老)'를 넘어, 여행, 취미, 문화 활동 등을 통해 노년기를 적극적으로 즐기려는 '향로(享老)'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과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관심도 높습니다.  
 
5) 가치 제안
상당한 구매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역시 전반적인 이성 소비 트렌드의 영향을 받아 품질과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사용하기 쉬운 기술, 편안한 의류, 건강 맞춤형 식품 등 자신의 필요에 맞는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지갑을 엽니다.  

 
 

세대별 소비자 스냅샷

특징 Z세대(1995년 이후 출생) 실버세대(60세 이상)
핵심 가치 개성, 자기표현, 경험, 감성적 만족,
건강, 외모, 친환경, 궈차오, 가성비
건강, 삶의 질, 편의성, 가치 소비,
디지털 활용, 사회적 관계
디지털 행동 더우인, 샤오홍슈 등 소셜 플랫폼 중심,
트렌드 민감, 라이브 커머스/숏폼 선호,
AI 추천/가상 인플루언서 수용
온라인 쇼핑 증가 (특히 건강/패션/생필품),
정보 검색 및 편의성 중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필요
주요 소비 분야 패션, 뷰티(옌즈경제), 경험(여행/문화),
건강(보조제/이색식품), 디지털 콘텐츠, 중고 제품
건강(의료기기/건강식품), 서비스(가사/요양/관광),
편의성 높은 제품, 여가/취미 활동
브랜드 선호 궈차오 브랜드, 개성 있는 니치 브랜드,
가성비 좋은 브랜드, 친환경/윤리적 브랜드
신뢰도 높은 브랜드, 품질 좋은 브랜드,
시니어 맞춤 기능 제공 브랜드
핵심 동기 자기만족, 즐거움, 정서적 위안,
트렌드 동참, 가치 실현
건강 유지, 편안한 노후, 삶의 즐거움 추구,
편리함, 자녀/사회 부담 경감

 

3) 세대 간 트렌드의 의미

Z세대의 자기표현과 감성 중시 경향과 실버 세대의 건강 및 삶의 질 추구는 표면적으로 달라 보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중국 사회 전반에서 개인의 행복과 내적 만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소비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과거의 기능적 소비나 과시적 소비를 넘어, 소비를 통해 더 나은 삶과 정신적 풍요를 추구하려는 욕구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두 세대 모두 디지털 환경에 익숙해지고 있다는 점은 기업들에게 옴니채널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Z세대와 실버 세대가 선호하는 플랫폼, 콘텐츠 스타일, 사용자 경험은 명확히 구분됩니다. Z세대는 더우인, 샤오홍슈와 같은 최신 플랫폼에서 트렌디하고 상호작용적인 콘텐츠에 반응하는 반면, 실버 세대는 보다 직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성공적인 디지털 전략은 각 세대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접근 방식을 요구합니다.  

 
 
 

5. 제품을 넘어: 경험을 향한 탐색

중국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히 상품을 소유하는 것을 넘어 기억에 남는 경험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물질적 풍요 속에서 성장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여행, 문화 활동, 엔터테인먼트, 개인적인 성장과 관련된 경험 소비가 중요한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1) 가치관의 변화와 경험 소비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정서적 충족감, 즐거움, 그리고 개인적인 의미를 경험을 통해 찾고 있습니다. 2023년 청년 소비 연구에 따르면, 젊은 세대의 약 절반이 '기분 전환'을 위해 소비하며, 64%는 물질적 소비보다 정신적 소비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소비의 목적이 단순한 기능 충족에서 벗어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과정 자체로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문화 소비의 약진

경제 성장과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문화 활동에 대한 관심과 지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콘서트, 연극, 뮤지컬 등 공연 관람, 박물관 및 미술관 방문, 역사 유적지 탐방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 역시 '중국에서의 쇼핑(购在中国)' 캠페인 등을 통해 국내외 우수 공연 및 전시회 유치를 장려하며 문화 소비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몰입형 연극이나 XR 기술을 활용한 전시 등 새로운 형태의 문화 콘텐츠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3) 여행 트렌드의 진화

코로나19 이후 억눌렸던 여행 수요가 폭발하며 국내 여행 시장은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고, 일부 지표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여행 트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테마 및 체험 중심 여행
하얼빈 빙설 축제와 같은 계절 특화 여행, 특정 문화를 깊이 있게 체험하는 여행, 스포츠 관람이나 참여를 목적으로 하는 여행 등 테마가 있는 여행 상품의 인기가 높습니다.  
 
2. '역방향 여행(反向旅游)' 부상
유명 관광지의 혼잡함과 높은 비용을 피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소도시나 비주류 여행지를 찾아 독특하고 조용한 경험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개성과 차별화된 경험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성향을 반영합니다.  
 
3.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젊은 여행객들은 샤오홍슈, 더우인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여행 정보를 얻고, 인플루언서나 친구들이 공유한 경험에 영향을 받아 여행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행 경험을 다시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며 새로운 트렌드를 확산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4) 경험 경제의 시사점

경험 경제의 부상은 리테일, 엔터테인먼트, 관광 등 산업 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이제 기업들은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을 넘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리테일 매장은 단순히 상품을 진열하는 공간을 넘어 문화 행사나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여행사는 쇼핑이나 미식과 같은 특정 테마를 결합한 상품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성 소비 트렌드와 경험 소비 트렌드가 결합되면서 소비자들은 평범하거나 일반적인 경험보다는 독특하고 품질이 높으며, 감성적으로 깊은 만족감을 주는 경험에 기꺼이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향을 보입니다. 이는 단순히 가격 경쟁에 매몰되기보다 차별화되고 가치 있는 경험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해졌음을 시사합니다. 기업들은 소비자의 변화하는 욕구를 파악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활용하여 특별한 경험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미래 전망: 중국 소비자 참여를 위한 핵심 고려사항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2024년과 2025년 중국 소비자 시장은 합리성, 자국 브랜드 선호, 세대 간 특성 분화, 경험 중시, 지속가능성 추구, 디지털 채널 진화 등 복합적인 트렌드가 상호작용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성공적으로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핵심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핵심 고려사항

1. 총체적 가치 제안 수용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품질, 기능성,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 구매 및 사용 과정에서 얻는 감성적 만족감과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 정보의 투명성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가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소비자들이 무엇을 '가치' 있다고 여기는지 깊이 이해하고, 이를 제품과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반영해야 합니다.
 
2. 신중하고 진정성 있는 궈차오 접근
궈차오 트렌드의 저변에 깔린 문화적 자부심과 애국심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국 브랜드의 경우, 섣부른 문화 요소 차용보다는 브랜드 본연의 강점인 품질과 혁신성을 강조하되, 현지 문화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피상적인 결합이 아닌 진정성 있는 방식으로 현지 문화와 연결점을 찾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로컬 브랜드는 문화적 연관성을 깊이 있고 세련되게 활용하여 경쟁 우위를 강화해야 합니다.
 
3. 정교한 세분화 전략 실행
Z세대와 실버 세대는 명확히 다른 니즈와 선호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타겟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고 마케팅 메시지, 콘텐츠 형식, 활용 플랫폼 등 모든 접점에서 세대별 맞춤 전략을 구사해야 합니다. 두 세대 모두에게 어필하려는 범용적인 접근 방식은 효과를 거두기 어렵습니다.
 
4. 경험 설계에 대한 투자
소비자와의 관계를 단순한 거래 이상으로 발전시켜야 합니다. 온라인에서는 매끄럽고 즐거운 사용자 경험을, 오프라인에서는 감각적이고 기억에 남는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여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브랜드 팬덤을 구축해야 합니다. 온·오프라인 경험을 통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합니다.
 
5. 지속가능성 및 건강 가치 내재화
친환경 소재 사용, 윤리적 생산 과정 도입, 건강 효능 강화 등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치를 제품 개발과 브랜드 철학에 진정성 있게 내재화하고, 이를 투명하게 소통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야 합니다. 이는 특히 Z세대와 건강 의식이 높은 소비자층에게 중요한 구매 결정 요인이 될 것입니다.
 
6. 디지털 생태계 마스터
더우인, 샤오홍슈, 위챗 등 핵심 디지털 플랫폼의 특성과 사용자 행태를 깊이 이해하고, 각 플랫폼에 최적화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소셜 커머스, 라이브 스트리밍, 인플루언서 마케팅(KOL/KOC)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마케팅 성과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7. 민첩성과 지속적인 학습 유지
중국 시장은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소비자 트렌드, 경쟁 환경, 기술 발전, 정부 정책 및 규제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의 필수 조건입니다.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은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얻는 여정입니다. 이는 시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문화적 공감 능력,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전략적 민첩성, 그리고 다양한 소비자 그룹의 구체적인 니즈와 진화하는 가치에 부합하는 진정한 가치를 제공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을 요구합니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중국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에 제시된 핵심 고려사항들을 바탕으로 정교하고 유연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기업만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