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거대한 규모와 빠른 성장세를 자랑하는 매력적인 디지털 광고 시장입니다. 이러한 시장에서 프로그래매틱 광고 구매, 특히 수요측 플랫폼(Demand-Side Platform, DSP)을 활용하는 것은 필수적인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중국 DSP 시장은 방대한 기회만큼이나 복잡한 과제들을 안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국 DSP 광고의 다양한 유형을 살펴보고 광고주들이 가장 우려하는 신뢰도 문제(광고 사기, 투명성 부족, 개인정보보호 규제 등)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성공적인 캠페인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1. 중국 DSP 시장: 기회와 도전의 공존
중국 디지털 광고 시장의 규모는 엄청납니다. 2019년 이미 디지털 광고 지출 규모가 약 96조 5724억원(약 7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프로그래매틱 광고는 연간 500억 달러 규모의 산업으로 성장하여 전체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지출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시장 예측 기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중국 프로그래매틱 광고 시장은 2030년 또는 2035년까지 수백억 달러에서 수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높은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성장의 중심에는 DSP가 있습니다. DSP는 광고주가 다양한 광고 지면(인벤토리)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 플랫폼입니다. DSP는 실시간 입찰(Real-Time Bidding, RTB) 시스템을 통해 광고 노출이 발생할 때마다 광고주가 원하는 타겟 고객에게 광고를 보여주기 위해 경쟁적으로 입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중국 시장의 거대한 규모와 성장은 그 자체로 복잡성을 내포합니다. 특히 바이두(Baidu),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로 대표되는 BAT 기업들이 전체 디지털 광고 시장의 약 60%를 장악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특징입니다. 이러한 시장 구조는 광고주에게 방대한 사용자 접근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특정 플랫폼에 대한 의존성을 높이고 데이터 접근성 제한이나 투명성 부족과 같은 잠재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디스플레이 광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광고주들이 이 방식을 필수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곧 DSP의 신뢰도 문제가 전체 광고 캠페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중국 DSP 시장의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조적 특성과 잠재적 위험 요소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중국 DSP 생태계의 주요 플레이어들
중국 DSP 시장은 다양한 유형의 플레이어들이 경쟁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광고주는 각 플레이어의 특징과 장단점을 파악하여 자사의 캠페인 목표에 가장 적합한 파트너를 선택해야 합니다.
1) BAT의 지배력
중국 DSP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바이두(Baidu), 알리바바(Alimama), 텐센트(Tencent Marketing Solution/광디엔통) 등 거대 기술 기업(BAT)의 강력한 영향력입니다. 이들은 각각 검색(바이두), 전자상거래(알리바바), 소셜 미디어(텐센트) 분야에서 확보한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와 플랫폼 생태계를 기반으로 DSP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알리바바는 특히 전자상거래 데이터를 활용한 타겟팅에 강점을 보이며, 텐센트는 위챗(WeChat)과 QQ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교한 소셜 타겟팅을 제공합니다. 바이두는 검색 데이터를 활용하며 자체 광고 거래소(Ad Exchange)를 운영합니다. 이러한 대형 미디어 플랫폼들은 자체적으로 DSP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BAT 플랫폼들은 독보적인 사용자 규모와 데이터 깊이를 제공하지만 각자의 '담장 안 정원(walled garden)' 내에서 운영되는 경향이 있어 플랫폼 간 데이터 공유가 제한적이고 외부에서의 투명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도 지닙니다.
2) 독립 DSP
BAT 외에도 아이핀요우(iPinYou), 요이 테크(Yoyi Tech)와 같은 독립적인 DSP 기업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핀요우는 중국 최대 독립 DSP로 알려져 있으며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주장합니다. 요이 테크는 AI 기반 기술을 강조하는 선도적인 DSP입니다. 이 외에도 Limei, AdSame, FancyDigital, WiseMedia, Domob 등 다수의 독립 DSP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립 DSP들은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광고 거래소와 연동하여 폭넓은 광고 지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우며, 때로는 BAT 플랫폼보다 높은 투명성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BAT가 보유한 방대한 규모의 자체 사용자 데이터(first-party data)에는 미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글로벌 DSP
더 트레이드 데스크(The Trade Desk), 미디어매스(MediaMath), 아마존 애즈(Amazon Ads), 구글 마케팅 플랫폼(Google Marketing Platform), 어도비 애드버타이징 클라우드(Adobe Advertising Cloud) 등 글로벌 DSP들도 중국 시장에 진출해 있습니다. 하지만 구글, 페이스북 등 서구권 주요 플랫폼들이 중국 내에서 주류가 아니기 때문에 이들 글로벌 DSP는 중국 로컬 플레이어들에 비해 시장 침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는 현지 파트너십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려 시도합니다. 글로벌 DSP는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글로벌 캠페인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중국 시장 특유의 데이터 접근성이나 로컬 플랫폼 연동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4) 모바일 중심 및 하이브리드 모델
중국은 모바일 우선(Mobile-first) 시장입니다. 인터넷 사용자의 99% 이상이 모바일을 통해 접속하며 이에 따라 모바일 광고에 특화된 DSP들이 별도의 카테고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광고 기술 시장에는 광고 네트워크(Ad Network), DSP, 데이터 관리 플랫폼(DMP) 등의 기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원스톱 샵(one-stop shop)' 모델도 다수 존재합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모델은 광고주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격이 모호하여 플랫폼 평가를 어렵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는 일부 플레이어들이 DSP의 역할을 명확히 하지 않고 혼란을 야기한다는 업계 관계자의 우려와도 일맥상통합니다.
결국 광고주는 자사의 핵심 목표(특정 플랫폼 내 깊이 있는 도달 vs. 광범위한 지면 접근성 vs. 글로벌 관리 편의성), 투명성 요구 수준, 리스크 감수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DSP 파트너를 선택해야 합니다.
주요 DSP 플랫폼별 특징 비교
다음 표는 중국 주요 DSP 제공업체들의 특징을 간략하게 비교한 것입니다.
업체 | 유형 | 주요 데이터 |
주요 광고형식 |
신뢰/ 투명성 특징 |
고려사항 |
텐센트 | 플랫폼/ Walled Garden |
소셜 (위챗, QQ) |
위챗 모먼트/공식계정 광고, 비디오, 배너 등 |
QQID 기반 타겟팅 | Walled Garden 구조로 인한 투명성 제한 가능성 |
알리바바 | 플랫폼 /Walled Garden |
이커머스 (타오바오, 티몰) |
이커머스 연동 광고,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 |
방대한 구매 데이터 기반 타겟팅 |
Walled Garden, 리테일 외 캠페인 적용 제한 가능성 |
바이두 | 플랫폼/ Walled Garden |
검색 | 브랜드 존, PPC,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 |
검색 데이터 기반 타겟팅 | Walled Garden, PPC 중심, 유료 검색 신뢰도 이슈(과거) |
아이핀요우 | 독립 DSP | 크로스-익스체인지 | 모바일, 비디오, PC, OTT 등 |
Optimus Prime (투명성 플랫폼), AI 기반 사기 방지, 3자 검증 파트너십 |
독립 DSP로서 BAT 수준의 자체 데이터 부족 가능성 |
요이 테크 | 독립 DSP | 크로스-스크린, AI기반 | 모바일, PC, OTT, CTV 등 |
OneDesk (투명성 플랫폼), AI 기반 최적화/타겟팅, CAA 평가 통과, DMP+DSP 모델 |
독립 DSP로서 BAT 수준의 자체 데이터 부족 가능성 |
3. 중국 DSP 광고의 다채로운 팔레트: 광고 유형 및 형식
중국 DSP를 통해 집행할 수 있는 광고 형식은 매우 다양합니다. 기본적인 디지털 광고 형식부터 각 플랫폼의 특성을 반영한 고유한 형식,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는 채널까지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1) 표준 광고 형식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디스플레이 배너 광고(DA 배너)입니다. 웹사이트나 앱 내 다양한 위치에 게재될 수 있습니다. 동영상 광고 역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VAST(Video Ad Serving Template) 표준을 지원하는 DSP들이 늘어나면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스트림(In-stream) 동영상 광고, 아웃스트림(Out-stream) 동영상 광고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합니다. 네이티브 광고는 주변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모바일 환경에 특화된 형식으로는 앱 실행 시 전체 화면으로 노출되는 전면 광고나 사용자의 특정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제공되는 보상형 동영상 광고(Rewarded Video) 등이 있습니다. 오디오 광고 역시 일부 DSP를 통해 집행 가능합니다.
2) 플랫폼별 특화 형식
중국 주요 플랫폼들은 자체 DSP 또는 광고 시스템을 통해 고유한 광고 형식을 제공합니다.
텐센트(Tencent)
중국인의 일상과 밀접한 위챗(WeChat)의 '모먼트(Moments)' 피드에 노출되는 광고와 공식 계정(Official Account) 내 배너 광고가 대표적입니다. QQ 메신저나 텐센트 비디오, 텐센트 뉴스 등 다른 플랫폼 지면도 활용 가능하며, 방대한 소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타겟팅이 강점입니다.
알리바바(Alibaba - Alimama)
티몰(Tmall), 타오바오(Taobao) 등 자사의 거대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깊숙이 연동된 광고 상품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구매 행동, 검색 기록 등 이커머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타겟팅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리테일 브랜드에게 유용합니다.
바이두(Baidu)
중국 최대 검색 엔진으로서 검색 결과 페이지 상단에 브랜드 관련 정보를 풍부하게 노출하는 '브랜드 존(Brand Zone)' 광고 나 검색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노출하는 CPC(Cost-per-click) 방식이 주력입니다. DSP를 통한 배너 광고도 가능하며 검색 데이터를 활용한 타겟팅이 특징입니다.
기타 플랫폼
틱톡(TikTok)의 중국 버전인 도우인(Douyin)이나 콰이쇼우(Kuaishou)와 같은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는 AI 기반의 동영상 광고가 활발히 집행됩니다. 젊은 층이 선호하는 비리비리(Bilibili), 여성 사용자가 많은 샤오홍슈(Xiaohongshu) 등 특정 사용자층을 겨냥한 플랫폼 광고도 가능합니다. 또한 뉴스 앱, 유틸리티 앱, KOL(인플루언서) 마케팅과의 연계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 집행이 이루어집니다.
3) 신규 채널
프로그래매틱 광고 기술은 전통적인 웹과 모바일 화면을 넘어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매틱 DOOH (Digital Out-of-Home)
지하철, 쇼핑몰, 빌딩 등 옥외 공간에 설치된 디지털 스크린 광고를 DSP를 통해 실시간으로 구매하고 송출하는 방식입니다. 중국에서는 Focus Media, Xinchao Culture Media 등 주요 사업자들이 DOOH 인벤토리를 제공합니다.
커넥티드 TV (CTV) / OTT (Over-the-Top)
스마트 TV나 셋톱박스를 통해 인터넷 기반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서비스(OTT) 내 광고를 프로그래매틱 방식으로 구매하는 것입니다. FunTV, MangoTV 등이 중국 내 주요 OTT 플랫폼으로 언급됩니다. CTV/OTT 광고는 TV 시청 환경에서 몰입도 높은 광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광고 형식의 존재는 광고주에게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각 플랫폼과 형식의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그에 맞는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동일한 배너 광고를 모든 플랫폼에 노출하는 방식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위챗에서의 소셜 광고, 타오바오에서의 상품 광고, 도우인에서의 숏폼 비디오 광고는 각각 다른 사용자 맥락과 기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와 형식을 해당 플랫폼에 최적화하는 섬세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CTV나 DOOH와 같은 새로운 채널의 등장은 캠페인의 도달 범위를 넓힐 기회를 제공하지만 기존 웹/모바일 광고와는 다른 측정 방식과 크리에이티브 접근법을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CTV 광고는 개인 단위가 아닌 가구 단위 타겟팅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4. 신뢰도 문제: 광고 사기, 투명성, 개인정보보호
중국 DSP 시장의 매력적인 기회 이면에는 광고주들이 반드시 인지하고 대비해야 할 심각한 신뢰도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광고 사기, 투명성 부족, 그리고 강화된 개인정보보호 규제(PIPL)는 성공적인 캠페인 집행을 가로막는 주요 장애물입니다.
1) 만연한 광고 사기
심각성
중국 디지털 광고 시장의 광고 사기 문제는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 보고서에서는 사기 비율이 30.7%~40%에 달한다는 충격적인 수치가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중국에서 발생하는 광고 사기 피해액은 연간 수십억 달러에서 수백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수법
광고 사기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합니다. 악성 봇(Bot)을 이용해 가짜 광고 노출수(impression)나 클릭수를 생성하는 행위, 여러 광고를 겹쳐 쌓아 맨 위 광고만 보이게 하는 '애드 스태킹(Ad Stacking)', 정상적인 웹사이트를 모방한 가짜 '유령 사이트(Ghost Site)'를 만들어 광고 네트워크 승인을 얻는 행위, 트래픽 교환 플랫폼을 이용한 사기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봇에 의한 비정상적인 트래픽은 사람이 활동하지 않는 심야 시간에 급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영향
광고 사기는 광고 예산 낭비, 캠페인 성과 데이터 왜곡, 그리고 궁극적으로 광고주와 광고 플랫폼 간의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합니다.
대응 노력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DSP 업체들은 자체적인 사기 방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AI 기술을 활용하여 비정상 트래픽을 탐지하려 노력합니다. 또한, IAS(Integral Ad Science), DoubleVerify, Grapeshot과 같은 글로벌 광고 검증(Verification) 전문 기업이나 AdMaster, Miaozhen Systems와 같은 중국 현지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광고 가시성(Viewability) 및 사기 여부를 측정합니다. 실제 사람에 의한 트래픽(Human Traffic) 검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TAG(Trustworthy Accountability Group)와 같은 산업 표준을 도입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2) 투명성 부족
문제점
광고 사기 문제와 더불어 중국 DSP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는 투명성 부족입니다. 광고주들은 자신의 광고 예산이 정확히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어떤 매체에 광고가 노출되는지, 실제 성과는 어떠한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숨겨진 수수료(Hidden Fee)가 존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원인
BAT와 같은 거대 플랫폼들의 '담장 안 정원(walled garden)' 구조와 데이터 공유 기피 현상이 투명성 확보를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일부 DSP는 광고주에게 플랫폼 접근 권한을 제공하지 않고 결과 보고서만 전달하기도 합니다. 또한 독립적인 DSP와 퍼블리셔가 운영하는 광고 플랫폼 간의 구분이 모호한 점, 성숙한 DMP(Data Management Platform)의 부재, 그리고 퍼블리셔나 플랫폼이 불투명한 트래픽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구조적인 문제 등도 투명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개선 노력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업계에서는 독립적인 DSP의 역할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 플랫폼들은 광고주가 실시간 입찰 현황, 미디어 비용, 광고 게재 위치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대시보드나 트레이딩 데스크(Trading Desk)를 제공하려 노력합니다 (예: 아이핀요우의 Optimus Prime, 요이 테크의 OneDesk). 명확한 가격 정책과 실시간 데이터 제공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업계 표준 마련을 위한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IAB의 데이터 투명성 라벨(Data Transparency Labels)과 같은 표준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광고 사기와 투명성 부족 문제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악순환을 낳는 경향이 있습니다. 불투명한 시스템은 광고 사기를 탐지하기 어렵게 만들고 높은 사기율은 광고주로 하여금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키우고 더 높은 투명성을 요구하게 만듭니다. 특히 BAT의 폐쇄적인 생태계 구조는 이러한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고 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솔루션뿐만 아니라 시장 참여자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계 전반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3) PIPL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2021년 11월 1일부터 시행된 중국 개인정보보호법(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PIPL)은 중국 최초의 포괄적인 개인정보보호 규정입니다. 유럽연합의 GDPR과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요구사항
PIPL은 개인정보 처리의 주된 법적 근거로서 '고지-동의(notice-and-consent)' 원칙을 매우 강조합니다. 즉 광고 타겟팅 등을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하기 전에 정보 주체에게 관련 내용을 명확히 알리고 명시적인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정보 주체는 자신의 정보에 대한 열람, 정정, 삭제 등의 권리를 가집니다. 민감 개인정보나 14세 미만 아동의 정보 처리에 대해서는 더욱 엄격한 규정이 적용됩니다.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에 대해서도 보안 평가, 표준 계약 체결, 전문기관 인증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또한 개인정보 처리 활동이 개인의 권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개인정보 영향평가(PIIA) 수행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DSP/광고에 미치는 영향
PIPL은 타겟 광고를 위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명시적 동의를 요구함으로써 기존의 데이터 기반 타겟팅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소비자에게 차별적인 가격을 제시하는 행위 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는 광고주와 DSP가 잠재고객 세분화 및 개인화 전략을 수립하는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IPL 위반 시에는 연간 매출액의 최대 5%에 달하는 막대한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어 규정 준수 부담과 법적 리스크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의 도입이나 기업 자체 데이터 활용 전략을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PIPL 관련 규제 환경은 아직 발전 중이며 향후 국경 간 데이터 이전 요건 완화 등 변화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PIPL의 등장은 데이터 주체인 소비자의 권한을 강화하고, 무분별한 개인정보 활용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이는 단순히 법적 규제를 넘어 광고주와 DSP가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지속 가능한 마케팅 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변화입니다.
결론적으로 높은 광고 사기율, 불투명한 거래 관행, 그리고 엄격한 PIPL 규제는 중국 DSP 시장을 매우 위험하고 복잡한 환경으로 만듭니다. 특히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해외 브랜드에게는 더욱 큰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캠페인 운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위험 요소를 충분히 인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 선정, 철저한 검증 프로세스 구축, 그리고 규정 준수를 위한 노력이 필수적입니다.
5. 확신을 가지고 항로 설정하기
중국의 DSP 광고 시장은 의심할 여지 없이 막대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디지털 소비자와 연결될 수 있는 강력한 통로이며 AI와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은 더욱 정교하고 효과적인 마케팅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중심의 소비 행태는 모바일 DSP 광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회는 광고 사기, 투명성 부족, 그리고 PIPL이라는 엄격한 개인정보보호 규제 라는 만만치 않은 도전 과제와 함께 존재합니다. 성공적인 항해를 위해서는 이러한 위험 요소를 명확히 인지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핵심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캠페인을 모니터링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기민하게 적응하는 것입니다. DSP 파트너 선정 시에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투명성, 사기 방지 역량, PIPL 준수 노력을 면밀히 평가해야 합니다. 캠페인 집행 중에는 제3자 검증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광고 전달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최적화해야 합니다.
앞으로 중국 DSP 시장은 AI 기술의 통합 심화, 쿠키리스(cookieless) 환경에 대응하는 새로운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의 발전, 그리고 지속적인 규제 변화 속에서 더욱 진화할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 전략적인 파트너십, 그리고 끊임없는 학습과 적응 노력이 필수적입니다. 신중한 접근과 능동적인 관리를 통해 중국 DSP 광고 시장이라는 광활한 바다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